1.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예산안 발표 -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사업 예산 2천억이 삭감되었습니다.
이제 스마트공장 기초는 자비로 해야합니다. 정부는 고도화 사업에 집중할 것입니다.
2. 탄소중립 정책···선택인가, 필수인가? - KDI 경제정보센터
탄소중립은 무엇이고 탄소중립 정책은 왜 필요한 것일까요?
피할 수 없는 것은 선제대응 준비를 미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국내 제조기업의 RE100 참여 현황과 정책과제 조사 - 대한상공회의소
RE100은 무엇일까요? 제조 중소기업은 RE100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4. 수입 물가 상승의 산업별 가격전가 분석 - 원자재 수입 물가를 중심으로 - 한국은행
어떤 시점에 가격을 올려야할까요? 원자재 가격의 '가격전가' 과정을 알면 가격 변경의
timing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요?
5. 상생형 스마트공장 정책 효과 분석 - 중소기업중앙회
여기서 상생형이란 '삼성'이 투자 펀딩한 사업을 의미합니다. 삼성이 지원한 스마트공장 참여
중소기업(302개사)과 동일 업종·매출액 구간의 스마트공장 미도입 중소기업 304를 비교했다고
합니다. 결과는 사업을 한 기업의 △매출액 23.7% △고용 26.0% △R&D 투자 36.8% 더 증가
하여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사업의 정책 효과가 있다고 결론내었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6. 2022년 2/4분기 기업경영분석 - 한국은행
내가 속한 업종의 '평균 매출액 , '평균 이익률', 부채비율 등은 얼마일까요?
난 CEO로써 사업을 잘하고 있는 것일까? 업종 평균보다 못하다면 무엇을 해야하는가?
이런 의문에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7. 러시아 가스공급관련 EU 생산차질 및 국내산업 리스크 점검 - 한국은행
세상은 서로 연결되어 영향을 주고 받습니다. 러시아가 EU에 공급하는 천연가스를 중단한다는
가정하에 어떤 인과관계 고리가 만들어질까요?
러시아 EU 가스공급 중단 --> EU(특히 독일) 생산차질 발생 --> 핵심 자본재 및
중간재 수입 원가 상승 --> 국내 조선/반도체/자동차 산업에 영향 --> 하위 공급사슬에 영향
이런 악순환 고리에 빠지게 됩니다. 언제 회복할 지도 모르죠.
중소기업 대표님이 속한 산업은 안전하신가요?
미리 대응 준비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