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라이프로그(my life log)

[슬기로운 직생] 인천광역시 서구 '우편발송서비스' - 인천차이나타운, '딤섬외'

에스오에스데이터랩 2025. 7. 2. 19:10

슬기로운 '직생'이란?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는 중소기업이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을 가지고 공공구매 시장에 입찰하기위해 반드시 받아야하는 증명서입니다. 적합/부적합 판정 조사관으로 현장 방문한 제조/서비스 공장의 주변 맛집과 유적 등을 탐방하는 생활입니다. '재미있고 즐겁게 일을 즐기자'는 의미입니다. 

 

현장조사 세부제품은 ?

'기타'  제품군에 속하는'우편발송서비스' 입니다.

 

제품군 경쟁제품군 세부제품군
기타 판매및판촉활동 우편발송서비스

 

 

서비스라고 우습게 보면 안됩니다. 설비 자동화로 인해  '진입장벽'이 높은 서비스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만장 우편물발송이라하면 사람 손으로는 할 수 없겠죠.

 

[슬기로운 직생] 안양시 지식산업센터 - '우편발송서비스', '옥된장'의 우렁된장전골

 

[슬기로운 직생] 안양시 지식산업센터 - '우편발송서비스', '옥된장'의 우렁된장전골

슬기로운 '직생'이란?'직접생산확인증명서' 는 중소기업이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을 가지고 공공구매 시장에 입찰하기위해 반드시 받아야하는 증명서입니다. 적합/부적합 판정 조사관으로 현

www.sos2.co.kr

 

 

요 곳은 지난번 방문한 안양시 설비규모보다 2배 이상되는 것 같아요.  처리 물량이 많다는 이야기겠죠.

 

 

 

인천차이나타운 '향래객 (香來客) '

 

이집은 저희가 방문한 '향래객(香來客)' 바로 앞에 위치한 '연경대반점'이예요. 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자기가 먹은 집은 안찍고 앞집을 찍었을 까요?  더위에 정신이 나갔나봐요~~ ㅎㅎ

 

앞집에서는 '1박2일' 촬영과 무슨 드라마에 나왔던 곳이래요. 거대해서  중국 소설 '용문객잔'을 보는 듯...ㅋㅋ

 

이 곳이 인천광역시 중구 차이나타운로 42에 위치한 향래객 내부 모습입니다.

 

 

삼선간짜장면, 새우볶음밥 및  '수제딤섬' 주문했어요.

 

 

수제딤섬 4가지 종류중 '홍콩부추만두'를 주문했어요.

 

'수제딤섬'은 '수제'라...20분 뒤에..

간짜장면은 

해물 많고

면이 부드럽고

아주 맛있습니다.

 

볶음밥은 그게 그거...

 

홍콩부추만두는

찹쌀 껍질피라 쫄깃하고

여기저기 달라 붙어서

하나 터져버렸어요~^^

 

쫀득하니 아주 색다른 맛이였어요.

중국 딤섬 정말 다양하네요~~

 

맛 평점 : 2.5 점 (두명이 3,2,1점 평가)

 

**  차이나타운이라 그런지 중국 소설이나 영화의 무사가 된 듯해요.

     중원을 차지하기 위한 필사기 무사...ㅎㅎ

     워차니 짜오만 닝하오~~

 

     중국음식이 다 맛있네요. 

 

오늘도 슬기로운 직생이였습니다.

 

 

P.S 차이나타운 스케치

 

 

모택동 초상화가 들어간 돈이 수북하네요..

아마도 복을 부르는 신인듯 ...

 

 

이 더위에 올라가려면 

'저승의 길' 아닌가요? ^^

 

 

앞집 '연경대반점'의 문 앞에서

용과 봉황(??)

(맞나요?)

 

 

'청룡언월도'를 휘두르는 

'관우' 동상....

 

볼거리가 많은데  시간이 없어서 아쉽네요.

 

Q. 인천 차이나타운 역사 요약

더보기

인천 차이나타운은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형성된 한국 속의 작은 중국입니다. 그 역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형성 및 초기 발전 (19세기 후반):
    • 1882년 임오군란 당시 청나라 군대와 함께 들어온 중국 상인들이 한국 화교의 시작이 됩니다.
    • 1883년 인천항 개항 후, 1884년 '인천구화상지계장정'이 체결되어 현재의 차이나타운 자리에 청나라 조계지(치외법권 지역)가 설정됩니다.
    • 이곳에 청국영사관이 설치되고, 산둥성 출신 중국인들이 주로 이주하면서 자신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상권을 발전시켰습니다. 초기에는 중국의 비단, 광목, 농수산품 등을 수입하고 조선의 사금을 중국으로 보내며 큰 이득을 얻었습니다.
    • 이 시기 화교들은 중국식 건축에 필요한 목수, 기와공 등을 대동하여 거주지와 상가 건물을 지으며 정착했습니다.
  • 변화와 위축 (20세기 초중반):
    • 청일전쟁 패전 후 한동안 중국인들의 위세가 꺾이기도 했으나, 의화단 사건 이후 산둥인들이 다시 유입되면서 인구가 늘었습니다.
    • 한일합방 이후 1913년 중국인 조계가 철폐되면서 중국 정부의 보호가 끝나고, 화교 사회는 점차 약화되기 시작했습니다.
    • 1920년대부터 6.25 전쟁 전까지 '공화춘'과 같은 고급 중국 요리점들이 명성을 떨쳤습니다.
    •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화교 견제 정책이 시행되면서 외국인 출입 및 외환 거래 규제, 외국인 토지 소유 금지 등 여러 제약으로 인해 화교 사회는 큰 타격을 입고 많은 화교들이 한국을 떠났습니다. 1973년에는 정부의 분식 장려 정책으로 중국 식당에서 쌀밥 판매가 금지되기도 했습니다.
  • 재도약과 관광지화 (1990년대 후반 이후):
    • 1990년대 후반 한중 수교 이후 차이나타운은 다시 활기를 되찾기 시작했습니다.
    • 2001년 문화관광부가 차이나타운을 관광특구로 지정하면서 역사적 의의가 깊은 근대문화재를 재정비하고 특화 상점, 박물관, 예술의 거리 등을 조성하며 관광 명소로 변화를 꾀했습니다.
    • 오늘날 인천 차이나타운은 이국적인 분위기와 함께 짜장면 박물관, 한중문화관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