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라이프로그(my life log)

인천광역시 애보박물관 - '삶에 스며든 나무 展' 감상

에스오에스데이터랩 2025. 3. 17. 13:12

인천시 애보박물관

 

지난 주 방문한 인천시 '장수보리밥' 방문 후 근처에 위치한 애보박물관을 방문했어요. 애보박물관은 개인이 운영하는 곳으로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의골로 71에 위치하고 있어요.  한국전통음식박물관과 전통음식 만들기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있어요.  저학년과 엄마가 같이 만들어볼 수 있는 2025년 체험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아요. 

 

01234

 

 '삶에 스며든 나무 기획전'을 보았어요.  개인이 운영하는 곳이라  입장료 ₩2,500을 지불하고 들어갔어요.

 

'삶에 스며든 나무 展'

 

 

조선시대 남자와 여자가 살던 집 안의 공간과 각 자의 역활이 다르기때문에 그에 맞는 목재 가구들도 그에 맞추어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기회에 조선시대 가구 한번 공부해 볼까요? 

 

 

조선여자용 가구

 

남자 가구는 별로 없어서...조선시대 여자들은 이런 도구와 가구를 사용하여 하루를 보냈어요. 지금 살고있는 집안의 같은 기능의 도구와 비교해 보세요!  얼마나 달라졌나요?

가구명 설명
뒤주 쌀 등의 곡식 보관
나무독 김치 등을 보관 , 항아리 이전인가?
찬장 그릇, 음식 등을 보관
찬탁 그릇을 얹어두는 곳
밥상 알죠?  조선시대에는 1인 1밥상이 아닐까? 
주방세트 주걱, 뒤집게, 국자, 꽈리 강판 등
물레 솜에서 실을 짜아내는 도구
자리틀 짚 같은 것으로 돗자리를 짜는 틀
바디집 베를 짤때 고정시키는 도구
여성안방도구 거울, 빗,  나전보석함, 죽통,  실패, 자, 목안 등 
반닫이 책, 문서, 제기, 그릇 등 보관용 수납가구
경대 화장용품 보관 및 화장용 거울
화초장 ??,  옥비녀 같은 비싼 것을 보관하기 위한 가구??

 

뒤주
항아리독
찬장
찬탁
여러가지 밥상
주방세트
물레
자리틀
바디집
여성안방도구
반닫이
화장대
화초장

 

 

기타

 

가구명 설명
떡살 떡에 장수, 혼례, 소망등을 나타내는 상징 문양을 찍어내는 도구.
다식판 한과 등 전통 과자를 만들어 내는 틀.  예) CU편의점 약과
길마   소에 얹어 수레 등을 끌기위한 도구
멍에 
달구지나 수레를 끌기위해 소의 목에 얹는 구부러진 막대
풍선 곡물에 섞인 겨, 먼지, 쭉쟁이 등을 날려버리는 도구

 

떡살과 다식판
길마
멍에
풍선

 

 

친구 :  ₩2,500의 가치가 있어? (친구는 미입장)

나 : 진짜 조선시대 사용 가구이면...

나 : 거울은 아닌 것 같아. 대한제국시대 이후가 아닐까? 내가 읽은 책 중 1850년 경 서양인이 작성한 조선탐방기 책에 일반 조선인에게 거울을 보여주니 놀라서 자빠졌다는 문구가 있었거든.

: 그래도 백다방 커피 값도 안되는 비용으로 조선시대 가구와 가구 이름을 쭉 살펴보았으니 그 것으로 충분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