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직생] 시흥시 MTV산단 - 분전반외, '생금마을' 꼬막비빔밥 그리고 '시흥생금집'
슬기로운 '직생'이란?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는 중소기업이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을 가지고 공공구매 시장에 입찰하기위해 반드시 받아야하는 증명서입니다. 적합/부적합 판정 조사관으로 현장 방문한 제조/서비스 공장의 주변 맛집과 유적 등을 탐방하는 생활입니다. '재미있고 즐겁게 일을 즐기자'는 의미입니다.
현장조사 세부제품은 ?
전기 제품군에 속하는 '분전반, 패쇄형배전반,전동기제어반'' 입니다. 공부해야죠! 공부끝내고 밥먹으로 가야합니다.^^
제품군 | 경쟁제품군 | 세부제품군 |
전기 | 배전,조정장치및액세서리 | 분전반, 패쇄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
변압기 ,배전반과 분전반은 우리 실 생활에 꼭 필요한 220V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소에서 생산한 고압전기를 분배해주는 설비입니다. 전동기제어반은 펌프, 밸브와 같은 것을 제어하는 장비로 홍수시 저수지 문을 자동으로 닫아버리는 기능, 지하철 안으로 물이 들어갈 수 없도록 입구의 차단막을 올려주는 기능 등을 합니다.
뒤에 숨어서 실생활을 도와주는 설비들입니다. 아래 표는 각 설비의 기능과 사용 위치를 정리한 표입니다.
** 집안의 분전반(두꺼비 집?)을 찾아보세요!
장치 | 주요 기능 | 사용처 |
분전반 | 전력 분배, 과부하 및 누전 보호 | 건물, 가정 |
패쇄형 배전반 | 고압 전력 수배전, 보호 | 공장, 변전소 |
전동기 제어반 | 전동기(펌프, 밸브 등) 기동, 정지, 보호, 제어 | 산업 현장 |
![]() |
![]() |
질문 : 각 설비에 공통적으로 많이 들어가는 원재료는 무엇일까요?
힌트 : 누런 색깔에 번쩍 번쩍 거리는 것으로 도둑들이 훔쳐갔다는 기사가 종종 나옵니다.
바로 '구리' 입니다. 이 덩어리를 '부스바' 라 합니다. '골드바'와 용어가 유사...
![]() |
![]() |
'부수바 절단절곡기' 설비 입니다. '자르고', '구멍뚫고', "굽히고' .... One-shot, Three-kill 설비!
시흥 '생금마을'
'생금'은 한자로 '生金' 입니다. '금을 만든다.' 후에 생금집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일반 허름한 2층집이네요. 이런 가정집 음식점은 화장실이 별로예요. ㅠㅠ
'금'이 '생'긴다고 하죠. '쭈꾸미' 와 '명태' 전문인가 봐요. 명태는 '만병통치약'이네..^^
![]() |
![]() |
수저와 젓가락 놓는종이인데 뭔가 정갈하네요. '꼬막비빔밥과 들깨칼국수' 세트 2인을 시켰어요.
'쭈꾸미만두' 궁금하네요~. 화요일에는 휴무입니다.
짜잔~~ 드디어 등장! 들깨칼국수와 만두를 섞어서 주문하는 것이 가능해요.
양념된 꼬막은 인당 20~30 여개 정도. 얼마전 방문하였던 제부도 바지락칼국수의 바지락보다 2배 많은 것 같아요. 들깨가루는 추어탕의 '산초'와 비슷한 향이 있죠~
![]() |
![]() |
비비고 끓이고~~ One-shot, two-kill 로 작업시작했어요. 꼬막비빔밥에는 제공된 야채를 넣어야 겠죠. 들깨칼국수에는 만두 2개가 있어요.
![]() |
![]() |
꼬막은 '오동통, 쫄깃, 매콤' 하고 들깨칼국수는 걸죽하고 들깨향이 있어요! '오동통'이 중요해요^^
![]() |
![]() |
맛 평점 : 2.5점 (두명이 3,2,1점 평가)
** 오동통, 쫄깃, 매콤한 '꼬막비빔밥'과 걸쭉, 따끈, 들깨향이 나는 '들깨칼국수'가 조화롭게 어울여요.
아쉬운 점은 밥이 차가워서 사장에게 돌솥밥 옵션을 넣으라고 건의했어요.
시흥 '생금집'
'생금'의 기원
'생금' 명칭의 기원을 찾아 시흥시 향토유적 제7호인 '생금집'으로 갔어요.
조선 말엽 '착한' 김창관이란 실존 인물인 농부가 어느날 나무를 하러 갔다가 '노란 털을 가진 닭'이 있어서 집으로 가져왔답니다. 그 닭털을 한양의 금방에 가서 물으니 '금'이라고 했답니다. 그래서 김창관 농부는 이 닭털들을 팔아 재산을 불리고 집을 지었는데 사람들은 이집을 '생금집'이라 했다고 하네요~. '금이 만들어지는 집'. '전설' 입니다.
착하게 살아야합니다.~~^^ 갑자기 언제인가 읽은 서양의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생각나네요.
나 : 닭은 가축인데 막 가져간 것은 훔친 것 아니야? 김창관은 곤장을 맞아야하는데~ ㅋㅋ
친구 : 딸이 몰래 가져갔더니 '돌'이 되었다.라는 문장이 있잖아. 그 말은 그 닭은 보이는 사람에게만 보인다는 의미지.
나 : 그렇군.
친구 : 전설이야. 동심을 잃은게지~ ^^
나 : 음~. 사실이 아닌 것을 진실이라 믿는 신념이 '동심 시기'에도 생기지.
이런 문양이 사실이 아닌 것이지...
생금집의 구조와 특징
생금집은 '부자 농부의 집'이란 것에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가 역사 드라마에서 보던 고관 대작의 기와집과 서울 북촌에서 보던 관리들의 기와집과는 다른 특징 몇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나그네를 위한 사랑방이 있다. (6번)
둘쨰 외양간이 집 내부에 있다. (8번)
셋째 디딜방앗간이 별도로 있다. (11번)
사랑방
나그네 : 여보시요. 길가는 나그네 하루밤 묵고 갑시다.
주인 : 사랑방에서 쉬어가세요.
별도의 온돌이 있고 이중문으로 뒤어 있어서 일면식 없는 나그네는 안채로 들어올 수 없는 구조입니다. 나그네는 이른 아침 바깥문을 열고 나갈 수 있습니다. 외부인에게 문을 열어주는 정이 넘치던 시절이였습니다.^^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라는 영화가 생각나네요~
외양간
집안에 외양간이 있어요. 부유농민이라도 바깥에 두기에는 엽전이 좀 모자랐나봐요. 그런데 냄새는?? 소가 째려보네요^^
디딜방앗간
집안에 쌀등을 빻는 디딜방앗간이 별도로 있는 것을 보니 부자 농민이 맞는 것 같아요. 오른쪽은 화장실이예요.
여성 해설사가 계시어 친절히 설명해 주었어요.
나 : 멀로 닦았지?
해설사 : 짚을 보여주며 ...ㅋㅋ
해설사 : 온돌에 사용한 검은 재는 화장실에 비치하고 뿌려주면서 거름으로 사용했다고 해요. 똥지게도 옆에 있네요^^
기타 스케치
부엌, 화장실등의 스케치입니다.
오늘도 슬기로운 직생이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