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및 사례

[MICE기업 상담] 밥먹고 살기 힘듭니다

에스오에스데이터랩 2022. 5. 13. 16:34

 

 

상담문의

 

안녕하세요

저는 11년도에 이벤트 회사를 차려서 이벤트 행사 업을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처음 창업을 했을 땐 이 일에 굉장히 기대도 많았고 그땐 정말 경기가 나쁘지 않아

일이 굉장히 잘 됐었습니다.
하지만 14년에 세월호 참사, 15년엔 메르스...
한창 4~6월 돈을 벌 시기에 행사를 할 수 없어 계속해서 침체 기간이 왔었습니다.
그렇게 한 2년을 내리 침체기를 겪다 보니까 수입보다는 빚이 많아졌더라고요 하하..
그래도 제 밑에 있는 직원들에게 월급을 줘야 하니
내가 열심히 하다 보면 빛을 보겠지란 생각으로 계속해서 꾸준히 이 일을 했습니다.

어찌어찌 잘 버텨가면서 지내고 있었는데 작년 코로나가 터졌죠..
경기가 안 좋아져서 힘든 건 어떻게 버텨는 봤는데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는 뭐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 그런 것들로 인해 사람들이 모이지를 못하니 정말 타격이 큽니다.
나날이 코로나 단계는 높아지기만 하고 영 좋아질 기미가 안 보이니.. 참 힘이 듭니다.
이런 시기는 어떻게 버텨야 하나요
알려 주십시오..

 

상담답변

 

대표님 안녕하세요? 경영지도사 윤대석입니다.

MICE산업이 코로나 19 이후 90% 축소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대체 방안을 마련하기도
쉽지 않은 분야라 고생이 너무 많으실 것 같습니다.

MICE 산업은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기 힘들어보입니다.

MICE 산업의 회복 시기를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 19 이전 단계로 회복하는

시기를 2024년 이후'로 답한 응답자가 50% 정도 되었습니다. 

이 조사에 근거하면 이제 완전 오프라인 대면 이벤트 보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시대로 접어들 것 같습니다.

(소기업이 버티기에는 힘들게 보입니다.)

출처 : MICE Intelligence,  코로나 19, MICE산업 회복시점은 언제인가?,  한국관광공사


이번 기회에 '디지털 MICE'로 전환을 고민해 보셨으면 합니다.


대표님의 고객군이 일반 기업인지 정부 기관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두 그룹의

특성이 다릅니다.
대표님의  이벤트 사업이 세미나나 컨퍼런스와 같은 '미팅 유형'인지 전시회와 같은

'행사 유형'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대표님의 지난 10여년간의 경험을 활용하여 다음 과정을 수행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첫번째.  수행하신 이벤트 활동을 분석하시어 비대면 디지털화 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십시요.

두번쨰,  비대면 이벤트 제안서를 작성하시어 고객과 만나 상의하십시요 (고객의 의향 반영)
세번쨰, 내부 직원들을 디지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십시요

 디지털화한 작은 이벤트 하나를 레펀러스로 확보하시면 더 큰 이벤트를 추진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참고 사업 

1. 한국 MICE협회 디지털 전환 지원 사업 (2021년 7월20일 마감되었으니 하반기 시행 여부 문의 필요)
2. 2021년 서울시 MICE 산업 지원 계획 공고 

3. 온라인 MICE 연수원 
4. 서울시 3D 가상회의 MICE 지원 플랫폼


대표님의 문의에 조그만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