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조사방법론] idiographic 설명과 nomothetic 설명이란?
연구조사 목적에는 3가지 유형이 있으며 "설명"을 요구하는 것에는 2가지 접근법이 있어요. 본인이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가만히 생각해 보세요.
idiograhhic 설명이란?
1) 현실세상 사례
- 신문기사에는 오늘도 한 사건의 원인들을 이러, 이러, 이러하다라고 쓴다.
- 학생은 취직이 안되는 원인을 이러,이러, 이러하다라고 말한다.
- 그녀와 헤어진 원인은 이러,이러,이러하다라고 말한다.
- 지각한 원인은 이러, 이러, 이러하다라고 말한다.
- 방송에서는 이 집이 맛있는 원인은 이러, 이러, 이러하다라고 말한다.
- 경영학 책에서 기업 성공, 실패의 원인을 이러, 이러, 이러하다라고 기술한다.
- 품질 불량이 발생하면 원인이 이러, 이러, 이러하다라고 말한다.
- 공학 설계에서는 안전에 문제가 되는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FTA(fault tree analysis)를 수행한다.
무엇이 "참 원인"인가? idiographic 접근법에서는 찾지 않는다. 다만 포괄적으로 모든 원인을 나열하는 것이다. 이렇게 나열식 원인으로 설명하는 것이 idiographic 설명이다.
2) 요약
한 사건, 효과 또는 결과의 원인(요인 또는 인자)들을 조사 또는 추론하여 포괄적으로( 또는 완벽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접근 방식이다.
사건(효과,결과) Y가 발생하면 그의 원인들 X1, X2, X3, X4... 등을 나열하는 것이다. 집합으로 보자면 Y ={원인 X1, 원인 X2, 원인 X3, .....}이 된다. 이러한 설명 접근법은 자신의 경험과 추가적인 검증 자료 (권위자의 말, 공자/소크라테스의 말, 과거 유사 사례 등)를 기반으로 주장하게 된다.
도서나 세미나장에서 발표 교수가 미국의 하버드대 교수 크리스텐센 왈, " ........" 라고 했습니다. 하는 것과 회사에서 브레인스토밍을 하는 이유 등이 바로 자신 주장의 근거가 되는 원인들을 포괄적으로 나열한 사례입니다.
그럼 윤석열이 계엄을 선포한 원인들을 포괄적으로 나열하면?
그럼 윤석열이 탄핵심판을 당한 원인들은 포괄적으로 나열하면?
nomothetic 설명이란?
1) 현실세상 사례
- 반복수 n이 많아질수록 이론값에 근접한다. (통계학의 경험규칙)
- 현상을 80:20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파레토 규칙, 20% 일하는 개미를 모아 놓으면 그중 80%는 논다.)
- X를 이렇게(nudge식=기존과 다른 유연한 방식) 변경하면 Y(행동)가 변한다. (넛지효과)
- 2배 이상으로 달려야(X) 그나마 현상이 유지(Y)된다. (붉은여왕효과)
- 1만번 학습해야 목표에 다다른다. (1만 시간의 법칙)
- 광고액(X)을 늘리면 매출액(Y)이 늘어난다. ( 통계학 회귀모형 Y=a+bX)
- 부모의 관심(X)이 학생 성적(Y)를 증가시킨다. (X ----> Y)
이 접근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어요.
- 가정을 동반한다. (시스템 경계조건이라고도 한다.)
- 가설을 동반한다.
- 연구모형이 있다.
- 일반적 규칙 설명이지 모든 것을 설명하지 못한다.
(** 특히 인간 사회를 다루는 사회과학에서는벗어나는 증거들이 많아요. 즉 규칙에서 벗어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현실은 이론과는 달라! 라는 말을 하곤한다.)
2) 요약
일군의 유사 사건(상황,결과,효과)을 몇개의 원인(요인,인자)으로 규칙적으로 설명하려는 접근방식이다.
- 현상 Y가 발생하여 원인들을 찾아보니 {X1,X2,X3,X4,X5} 였다.
- 유사 현상 Y'가 발생하여 원인들을 찾아보니 {X3,X4,X5,X6}였다.
- 유사 현상 Y"가 발생하여 원인들을 찾아보니 {X1,X3,X4,X7}였다.
- 따라서 현상 Y를 설명하는 원인들은 {X3,X4}이다. 즉, {X3,X4}가 발생하면 Y가 발생한다. {X3,X4} -----> Y
일군의 유사현상으로 부터 '공통 인자'를 찾아내어 설명합니다.
2017년 청소년,대학생에게 "롱패팅이 유행 (Y)"했다. 원인을 찾아보니 {부모의 습관, 동류 의식, 한국인 노예성 유전자}라고 하자. 2010년 이후 중년들에게 "노스페이스 등산복이 유행(Y)"했다. 지금도 유행한다. 원인을 찾아보니 {동류 의식, 편안함, 한국인 노예성 유전자}이다. 따라서 {동류의식, 한국인 노예성 유전자}가 "유행"을 만드는 원인이다라고 설명할 수 있다.
여러분이 큰 규칙하나 찾아내면 영원히 "교과서"에 실립니다!
{X1, X2, X3, X4} ---> 서부지법 폭력난입 (2025년 한국)
{X3, X5, X6, X7} ----> 의회 폭력난입 (2021년 믹국)
구글 Gemini에게 질문
prompt> 연구방법론에서 idiographic 와 nomothetic 두 접근법을 비교하여 장단점과 사례 하나를 표로 정리해봐!
구분 | Idiographic 접근법 | Nomothetic 접근법 |
정의 | 개인 고유의 특성 연구 | 일반적인 법칙이나 경향성 연구 |
특징 | 개별 사례 심층 연구, 질적 연구 방법 활용 | 다수 사례 연구, 양적 연구 방법 활용 |
장점 | 개인의 다양성 존중, 개별 맞춤형 접근 가능 | 연구 결과의 일반화 용이, 대규모 연구에 적합 |
단점 | 연구 결과의 일반화 어려움, 시간과 노력 소요 | 개인의 다양성 간과 가능, 개별 특성 심층 이해 어려움 |
사례 | 임상 심리학, 인류학, 개별 기업 분석 | 사회 심리학, 경제학, 교육학 |
제안서, 보고서, 사업계획서, 제안요청서, 연구개발계획서 등을 어떻게 작성하시나요?
목적 달성을 위한 idiographic 과 nomothetic 접근법을 사용하면 이해하기 쉽고 성공 확률이 높아집니다!